지구의 8,000m급 거봉이 모두 14개다. 히말라야 산맥에 10개 파키스탄 북부에 4개 산악계는 거봉들을 좌라는 수사로 센다.
1986년 이탈리아의 라인홀트 메스너가 14좌를 모두 올랐다. 1995년부터는 매년 완등자가 나타났다.
모두 16명 한국의 산악인 엄홍길 박영석 등 3명이나 들어있다. 한국의 여성 산악인 오은선씨도 14좌를 완등했다.
메스너는 1970년부터 16년만에 14좌 완등을 이루었지만 다음 사람은 8년을 단축시켰다 개선된 장비와 식량 그리고 루트정보 등의 도움 과 100m 기록이 단축되듯 완등자 모두 누구보다 더 나은 기록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고도 7,500m에 이르면 산소부족으로 인체는 한계를 느낀다. "죽음의 지대.." "하얀고독.." 이라는 고통을 이겨야 한다.
메스너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은 홀로 삶을 짊어지고 갈때 오직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다.
지금은 거봉을 오르는 각종정보와 훈련이 그 기간을 단축 시켜나가고 있다. 우리가 오를 수 있는 시장의 거봉(대박)도 산을 오르는 거나 다름 없을 것이다. 대박을 먹기 위해 각종정보(선물옵션 비문) 훈련(교육)을 통해 1차고가 2차고가 3차고가 그리고 14차 고가까지 정복
할 수 있는 날을 위해 공부하고 또 공부하는 마음 가짐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 14좌 목록
* 14좌를 모두 완등한 사람
이름 | 기간 | 국적 | |
---|---|---|---|
1 | 라인홀트 메스너 | 1970-1986 | 이탈리아 |
2 | 예지 쿠쿠츠카 | 1979-1987 | 폴란드 |
3 | 에라르 로레탕 | 1982-1995 | 스위스 |
4 | 카를로스 카르솔리오 | 1985-1996 | 멕시코 |
5 | 크리스토프 비엘리키 | 1980-1996 | 폴란드 |
6 | 훠니또 오이야르자발 | 1985-1999 | 스페인 |
7 | 세르지오 마르티니 | 1976-2000 | 이탈리아 |
8 | 엄홍길 | 1988-2000 | 대한민국 |
9 | 박영석 | 1993-2001 | 대한민국 |
10 | 알베르토 이누라테기 | 1991-2002 | 스페인 |
11 | 한왕용 | 1994-2003 | 대한민국 |
12 | 에드 비에스터 | 1989-2005 | 미국 |
13 | 앨런 힝크스 | 1987-2005 | 영국 |
14 | 실비오 몬디넬리 | 1993-2007 | 이탈리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