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 이야기
새끼 기린은 태어나면서부터 어미로부터 일격을 당한다.
키가 하늘 높이만큼 큰 엄마 기린이 선 채로 새끼를 낳기 때문에 수직으로 곧장
떨어져 온몸이 땅바닥에 내동댕이쳐지는 것이다.
그 충격으로 잠시 멍해져 있다가 간신히 정신을 차리는 순간, 이번에는 엄마 기
린이 그 긴 다리로 새기 기린을 세게 걷어찬다. 새끼 기린은 이해할 수 없다.
이제 막 세상에 태어났고 이미 땅바닥에 세게 부딪쳤는데 또 걷어 차이다니,
아픔을 견디며 다시 정신을 차리는 찰나 엄마 기린이 또다시 새끼 기린을 힘껏
걷어찬다. 처음보다 더 아프게 ! 비명을 지르며 고꾸라진 새끼 기린은 이 상황
을 이해할 수 없어 머리를 흔든다. 그러다가 문득 깨닫는다.
이대로 가만히 있다가는 계속 걷어차이리라는 것을.
그래서 새끼 기린은 가늘고 긴 다리를 비틀거리며 기우뚱기우뚱 일어서기 시
작한다. 바로 그때 엄마 기린이 한 번 더 엉덩이를 세게 걷어찬다.
그 충격으로 자빠졌다가 벌떡 일어난 새끼 기린은 달리기 시작한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발길질을 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제야 엄마 기린이 달려와 아기를 어루만지며 핥아주기 시작한다.
엄마 기린은 알고 있는 것이다.
새끼 기린이 자기 힘으로 달리지 않으면, 하이에나와 사자의 먹잇감이 되리
라는 것을. 그래서 새끼 기린을 무조건 걷어차는 것이다.
빨리 일어서서 달리는 법을 익히라고.
당신은 엉덩이를 걷어차인 적이 몇 번이나 있는가?
기억이 없다면 각오하는게 좋다.
조만간 연타로 발길질 당할 테니.
당신이라고 해서 삶이 살살 기분 좋게 굴러가라는 법 없다.
그러나 걷어차이고 또 걷어차여도 당신은 일어설 힘이 있다.
당신은 기린이니까.
삶은 '존재를 쪼개는 듯한 고통 끝에서 바뀌게 된다."
<백 년 동안의 고독>의 저자 마르케스는 “인간은 어머니가 세상에 내놓은 그
날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카뮈는 “눈물 나도록 살라.”고 말한 것이다.
치열한 열정이 없는 이는 생을 말 할 자격이 없다.
그는 숨을 쉬고 있어도 이미 시체이기 때문이다.
인생이 서글플 때 함게 있음을 구하지 말라.
사람과 물건을 통한 해소는 문제를 반복 환원 시킬 뿐이다.
내가 아닌 가치들은 나의 완성을 가로 막는 적일수 있음을 명심,
오직 스스로에게서만 구할 지어다.
인생은 우리에게 엄마 기린과 같다.
때로 인생이 우리를 세게 걷어차면 우리는 고꾸라진다.
하지만, 다시 비틀거리며 일어나야만 하고 또다시 걷어 채여 쓰러질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또다시 일어난다.
그것이 우리가 성장해 가는 방식이다.
베트남 속담에 “우리는 희망하고 ,절망하고, 희망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