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이 고난보다 많다.
<장자>라는 책 <천도편>에 고대 중국 제나라 임금 환공과 수레바퀴
를 깎는 목수(장인, 기술자. 고수) 윤편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하루는 제나라 임금 환공이 대청 위에서 책을 읽고 있었습다.
목수인 윤편은 뜰 아래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었습다.
그런데 윤편이 망치와 끌을 놓고 올라와서 환공에게 묻습니다.
“임금께서 지금 읽고 계신 책에 무엇이 쓰여 있는지 감히 여쭙고
싶습니다. 그러자 환공이 말합니다.
”성인의 말씀이니라.”
“그럼 성인이 살아계십니까?”
“벌써 돌아가셨다”
“그렇다면 왕이 읽고 있는 책은 성인이 남긴 찌꺼기에 불과합니다.”
”아니 내가 책을 읽고 있는데 바퀴 깎는 목수 따위가 어찌 시비를
건다는 말이냐?“
”만일 이치에 맞는 설명을 하면 살려주겠지만 그렇지 못하면 죽이겠다.”
고 말하자 윤편이 대답합니다.
“저는 바퀴 깎는 일만 평생 해 왔는데요,. 조금만 느슨하게 깎아도 안
되고, 빡빡하게 깎아도 안 되고, 덜 깎지도 더 깎지도 않는 적당하게
깎는 기술은 제 손끝에서 나오는 짐작(감각)입니다.”
여기에 비밀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말로 할 수 없지요.
그래서 제가 제 자식에게 깨우쳐 줄 수도 없고 제 자식 역시 제게서
이어받을 수가 없습니다. 나이가 70이 넘었는데도 늘 그늘막에서 이
렇게 바퀴를 깎고 있는 겁니다.
그러니 임금께서 읽고 있는 그 책은 옛사람의 찌꺼기나 다를바 없습니다.
장자가 말하는 도는 말이나 글로 배울 수가 없다는 교훈이다. 오직 몸소
익혀 깨달아야 한다. 설사 말이나 글을 통해서 배운다. 하더라도 오랜 숙
련과 훈련을 거치지 않고서는 진정한 배움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 아니
겠는가.
유교의 경전 중 시경에 이런 구절이 있다.
무릇 하늘이 인간을 만들 때 “늘 일이 일어나면 법칙이 있게 하였다.”
중국에 어릴 적부터 친구인 50대 남자 둘 3살 때 감전 사고로 두 팔
을 잃은 자원치와 39살 때 폭파사고로 시력을 잃은 지하이사 있었다.
저희 둘은 떨어져서는 살아갈 수가 없습니다. 그는 나의 눈이고, 나는
그의 손 이었습니다.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인 두 사람은 13년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나무를 심고 숲을 일궜습니다. 두 팔이 없는 아저씨가 시력을 잃
은 아저씨를 업고 개울을 건넌다. 모든 일이 쉬운 것이 없는 그 두 사
람이 항상 하는 말이 있다.
“방법은 고난보다 많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