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역전시대
기성세대가 신세대에게 배워야 하는 세상이다.
노인이 청년에게 ‘길’을 묻는 세상이 되었다.
아무리 경험이 많은 노인도 네비게이션을 쓰는 청년보다 ‘길’을 더 잘 알 수는 없다.
노인 한 분은 작은 도서관 한 개라는 덕담이 있지만, 신세대들은 앉은 자리에서 전
세계 도서관 수 백 개를 검색하는 세상이다. 그러니 나이 어린 사람을 깍듯이 모시
고 하나라도 더 배워야 하는 세상이 된 것이다.
젊은이들이 IQ가 높아져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신문명의 주기가 단축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농업혁명이 수천 년을 거쳤지만, 산업혁명은 300여 년, 정보혁
명은 30여 년,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은 20여 년, 뒤이어 나타 날
제5차 산업혁명은 15여 년, 정도로 단축될 거라는 예상이다.
농경사회나, 산업혁명 사회에서 태어난 사람은 평생 비슷한 환경에서 살다가 죽게
되고 나이가 많고 경험이 많을수록 더 인정받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신
문명 1세대가 진출하는 순간 기성세대는 구세대로 밀려나게 되어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이란 인류 전체가 정보화 사회로
전환하는 시점이다. 1980년대 태어난 MZ 세대가 정보화 사회의 1세대인 셈이다.
기성세대는 컴퓨터가 업무용이었지만, 이들에게는 생필품이다.
스마트폰으로 소통하고 놀고 일한다. 기존의 소통방식과 조직문화로는 쉽게 어울릴
수 없는 게 당연하다. 그러다 보니 기성세대와 충돌이 일어나고 꼰대들 과의 전쟁이
벌어진다. 기성세대가 만일 위계질서를 따지면 극렬하게 저항한다. SNS에 부당함을
알리거나 법적 대응 하는가 하면, 거리낌 없이 사직서를 던진다.
일하는 도구, 기술, 방법이 다른 막강한 인재들이다.
그래서 MZ세대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조직문화를 바꾸고 리더쉽을 바꾼 조직은 발
전해가고 있지만, 꼰대가 이긴 조직은 쇠퇴하고 있다.
지금은 2010년 이후 태어난 <알파 세대>가 다가오고 있다.
바로 이들이 제4차 산업혁명 1세대다.
기성세대는 업무를 위해 메타버스를 배워야 하는데 이들은 어려서부터 메타버스로
소통하고 놀고 있다. 사용하는 기술과 도구가 달라진 것이다.
몇 년이 지나면 이들이 사회로 진출할 것이다.
이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와 리더쉽의 전환이 필요하다.
신기술 신사고를 지닌 젊은이들을 이해해야 신상품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경영전략
을 세울 수 있을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