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가지치기
사람은 필연적으로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주기만 하는 관계로, 받기만 하는 관계로, 또는 주고받는 존재
로 살기도 한다. 누군가를 만나고 나면 심리적 만족을 얻어 의욕
과 흥이 생겨 기분이 좋아지기도 하지만, 누군가를 만나면 심리
적 만족감이 떨어져 기진맥진해지고 기분이 침울해지기도 한다.
불편한 관계에서 느낀 나쁜 감정들이 인생을 고갈시키지만, 관계
를 끊어내지 못하고 불만족과 고통을 고스란히 겪으며 삶을 이어
가는 사람들도 있다. 시인 류시화는 <좋은지 나쁜지 누가 아는가>
라는 책에서 티베트 우화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히말라야의 어느 골짜기에 수달이 사는 호수가 있다.
달 밝은 밤이면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 수면으로 헤엄쳐 올라온다.
그러면 호숫가를 배회하던 올빼미가 재빨리 내려와 수달의 손에
서 물고기를 낚아챈다."
이 수달과 올빼미의 관계를 티베트어로 '렌착'이라 부른다.
렌착은 ‘전생의 빚'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끌려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 가까운 주변에 수달과 올빼미의 관계처럼 렌착으로 고착화 된
삶을 살아가는 형제들이 있다. 자신의 욕구보다 남편의 욕구를, 자
신의 욕구보다는 형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데 에너지를 쏟으며 주
기만 하는 관계로 살아간다.
마치 올빼미가 떠날까 봐 염려하고 불안해하는 수달처럼 관계가
끊어지는 두려움에 전전긍긍하며 불공평해 보이는 관계를 당연한
듯이 여기고 살아 간다.
부모 자식 관계나 형제지간인 혈연 관계가 그렇다.
이처럼 렌착은 혈연과계 에서도 흔하게 드러난다.
부모가 어떤 자식에게는 도움을 받기만 하는 관계로, 어떤 자식
에게는 도움을 주기만 하는 관계로 고착화 되는 것도 렌착의 일종
인 것이다. 이 같은 관계의 렌착 현상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
이 렌착 상태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에서 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다. 자신이 맺고 있는 관계가 렌착인지, 진정한 애정
인지 알아차리는 기준을 시인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관계가 순수한 기쁨을 주고 있는가?
‘서로에 대한 존중과 존경이 자리하고 있는가?
‘자기희생이 서로에게 긍정적인 결과와 성장을 가져다 주는가?’
이 같은 기준에 맞지 않는다면 적당한 거리 두기나 과감한 ‘가지치기’
가 필요한 것이다. 훌륭한 정원사는 어느 가지가 나무에 유익하고
그렇지 않은지를 알고 가지치기를 할 줄 안다.
정리되지 않은 관계는 인생을 고갈시키고 고통의 원인이 되기 때문
이다.
문제는 가지치기에 용기가 필요하다.
고통은 우리를 떠나는 것들 때문이 아니라 그것들을 떠나보내지
못하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관계의 가지치기는 상대의 연약함을 받
아들이고 연민을 갖는 것과는 다르다.
수달의 삶은 수달의 삶이고, 올빼미의 삶은 올빼미의 인생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