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의 노래 <박목월 시, 김성태 곡>
기러기 울어대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불어 가을은 깊었네.
아ㅡ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한 낮이 끝나면 밤이 오듯이
우리의 사랑도 저물었네.
아ㅡ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산촌에 눈이 쌓인 어느 날 밤에
촛불을 밝혀두고 홀로우리라
아ㅡ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 시인 박목월이 서울에 있는 대학에 재직하던 중년 시절 제자인 여대생과
사랑에 빠져 모든 것을 버리고 홀연히 종적을 감추었다. 목월의 아내는 그
가 제주도에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남편을 찾아 마주하게 되었다. 이 두
사람에게 힘들고 어렵지 않겠느냐며 돈 봉투와 추위를 보낼 겨울옷을 내밀
고 서울로 돌아왔다. 사랑과 인생을 걸었던 박목월과 그 여인은 그 모습에
감동하여 그들의 사랑을 끝내고 헤어지기로 작정했다. 박목월이 서울로 돌
아오기 전날 밤 여인에게 선물로 써준 시가 세상의 ‘이별의 노래’라는 명
곡이 되었다.
# 여기는 창문 하나 없는 지하 슈퍼마켓 정전이 되어 갑자기 불이 꺼지고
칠흑같이 어두어졌다. 단말기도 작동하지 않는다. 전력회사는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으니 기다려 달라고만 한다. 그러더니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고 한다. 어둠 속에서 장바구니를 들고 계산을 기다리는 고객들이 웅성대기
시작, 어린아이들 울음소리도 들린다. 더는 기다릴 수만은 없었다.
마트 단당 책임 직원은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이 마트의 직원은 어떤 선택을 했을까?
놀랍게도 그 직원이 내린 결정은 ‘고객 여러분 정전으로 불편을 드려 정말
죄송합니다.’ 전기가 언제 들어올지 알 수 없으니 바구니에 담은 물건은
그냥 가져가세요. 그리고 물건값은 여러분이 원하는 자선단체에 기부하
세요. 모두 안전하게 나갈 수 있도록 도와 드리겠습니다. 조심해서 따라
오세요. 한적한 슈퍼마켓에서 일어난 이 일은 그게 끝이 아니었다.
이 소식이 방송을 통해 연일 전국으로 퍼지면서 요즘 같은 각박한 세상
에이런 이 있을 수 있느냐고 칭찬이 자자했고 고객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본사 감사팀이 조사한 결과 그날 정전으로 없어진 물건값은 대략
4천 달러였다. 하지만 이 사건을 통해 얻은 광고효과는 돈으로 환산하면
40만 달러라고 했다. 이 사건은 일본에서 있었던 팩트입니다.
우리 모두는 최고의 선택을 해야만 하는 절제절명의 순간이 꼭 찾아온다.
정답이 없는 문제에 정답을 찾으려고 당신은 애써보기나 했는가?
문무관(門無關)수행
종교인들의 수행 방법은 다양하다.
모든 종교의 수행은 자기 억제다.
육신의 고통을 이겨내야만 영적으로 성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만 해도 모세, 예수도 광야에서 40일 금식기도를 했다.
일반 기독교 목사들 중에도 40일 금식기도를 무난하게 거친 목사들이 많다.
문무관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다.
무언 수행, 벽면 수행 등이 있지만 문무관 수행이 제일 어렵다.
글자 그대로 문이 없는 선방에 들어간다. 사찰을 둘러 보면 스님들이 수행하
는 방에 밖에서 자물쇠가 채워있는 방을 쉽게 불 수 있다. 바로 무문관 수행
처다. 출입하는 문이 있지만, 밖에서 자물쇠로 채워져 있고 하루에 한 번 공양
이 들어가는 배식구만 있을 뿐이다.
그 좁은 방에서 드러눕든, 거꾸로 매달리든, 누가 간섭하거나
관찰하는 사람 없이 6년, 3년, 100일을 수행하는 스님들이 많다.
팍팍한 규율과 꽉 짜인 시간에 맞춰진 선방 생활을 하다가 처음 문무관 생활
을 시작하면 마음껏 자유를 누린다. 그러나 하루, 이틀, 길어야 1주일도 못 간다.
도저히 더 이상은 누어서 지낼 수만은 없다. 열심히 팔굽혀펴기도 해본다.
비록 작은 방이지만 왔다 갔다 하면서 생각을 정리해보지만, 이도 오래 하지
못 한다. 오직 묵언과 정진, 침묵이 문무관을 감싸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문무관 수행을 잘 마치려면 외부 환경이 아닌 자신의 내부에서 모든 것
을 찾아야 한다. 벽면 수행하는 자세로 명상에 들어가야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성경에 ‘오직 지킬만한 것은, 네 마음이다’라고 했다.
네 마음을 지킬 수 있다면 큰 성을 빼앗는 것보다 났다는 말이다.
유교도 마찬가지다. 수신 없이는 어떤 것도 이룰 수 없다고 본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고 하지 않던가.
나를 이기지 못하면 누구도 이길 수 없고 세상을 이길 수 없다.
결국 나를 무너뜨리는 것은, 남이 아니라 나 자신이다.
종교인 뿐만이 아니다.
일본의 국민작가로 알려진 무라카미 하루키는 문인(文人)으로써 매우
자유롭게 살 것 같지만, 아니다. 철저한 금욕생활을 반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벽 4시에 기상해서
커피를 끓여 마시고 책상에 앉아 10시까지 글을 쓴다.
그리고 밖으로 나와 10km를 달린다. 그다음 낮잠을 조금 잔다.
저녁에는 밤 10시까지 독서를 하고 잠자리에 든다. 이렇게 철저하게
규칙적인 생활을 스스로 강제하는 것은 마음에 잡년이 생기는 것을 막
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 하루키의 마라톤 사랑은 세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