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송해의 거리
  • 2022-02-19
진서리
         송해의 거리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철학이란지혜'를 가리키고 철학자란 지혜를 지닌 사람이다.


독일의 철학자는<니체><짜라투스트라>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를 죽이지 못한 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들 것이다.’


나를 아프게, 슬프게, 힘들게 한 것이 오히려 나를 강하게 만들 것이라는 의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삶이 힘들 때마다 자신의 본능이 반응하는 대로 내버려 두면 그저  불평불만만


쌓여갈 뿐이다. 시련을 대하는 태도가 명확해야 온갖 시련 때문에 쉽사리 소용돌


이에 휘둘리지 않는다. 누구에게도 시련 없는 삶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인생의 크고 작은 시련을 대하는 적극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를 갖게 되면 그 어떤


절망에도 쉽사리 굴복하지 않는 단단한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일전에 종로3가에 모임이 있어 나갔다가  탑골공원(낙원상가)옆에 송해의 거리


지나면서 인간 송해의 인생을 살펴봤다. 그는 황해도 출신의 코미디언, 가수, 그리


MC이며 현역 방송인 가운데 최고령인 95.   그를 잘 모르는 사람은 참 운도


좋은 사람 같다고 하겠지만, 아니다. 그는 6,25때 가족과 생이별을  한 이산가족


뿐아니라. 사랑하는 외아들을 불의의 오토바이 사고로 떠나보내는 불운을 겪었다.


대학생이던 외아들이 사고가 날 것을 염려해 오토바이를 절대 못 타게 말리고 아내


가 자신을 몰래 사줬던 오토바이를 부숴버리기까지 했지만, 아들은 결국, 아내가 몰


래 사준 두 번째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빗길에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보통 사람이라면 이런 비극적인 사건을 겪으면 비극은 더 깊어지고 사고의 책임소


를 두고서 가정불화를 겪다가 이혼까지도 가는 또 다른  비극을 초래하게 되지만,


송해는 달랐다. 그는 북에 두고 온 어머니가 자식인 자신을 잃었을 때의  심정과 사


하는 외아들을 잃은 아내의 심정이 같을 것이라는 깨닫고 아내에 대한 원망을 내


려놓고와 안쓰러움으로 세상의 풍파를 함께 헤쳐나가자고 다짐을 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송해는 1.4후퇴 때 혈혈단신으로 남쪽으로 내려온 실향민으로 생활이 어려웠고 또


축하해줄 가족도 없어 결혼식도 올리지 못한 63년을 살았었다. 90세가 되어서야


사랑하는 아내를 위해 결혼 이벤트를 열고 사랑 고백을 하기도 했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도 수많은 좌절의 벽에 부딪쳐 왔다.


아들을 먼저 떠나보내고 실의에 빠져 자살을 기도한 적이 있었지만 이때마다 니체가


외친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이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는 말에  힘입어  송해는


스스로를 더 강하게 만든 것이 보통 사람들과 다른 점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상처가 있다고 모두 진주가 되진 않지만, 상처 없이 만들어진 진주는 없다. 상처 없


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성공은  무수한 실패의 무덤 속에서 탄생하는


것이며 해결책도 불행과 실패 속에 숨어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우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가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에 열광한다. 하지만, 그가 그 길을 가기 위해


겪었던 갈등과 그 길 위에서 만남 숱한 외로움과 좌절에 대해서는 짐작만 할 뿐이다.


보이지 않는 고군분투는 염두에 두지 않는 게 우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