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supportEmptyParas]--> <!--[endif]-->
’잃는 것을 두려워하면 얻는 것도 없다‘ 는 뜻으로 <장자>에 나오는
“당랑거철(螳螂拒轍)”,수레에 맞서는 사마귀라는 말이다. 중국 제
나라 임금 <장공>이 수레를 타고 사냥을 나가는데, 작은 벌레 한 마리
가 앞발을 도끼처럼 치켜들면서 수레바퀴를 칠 듯이 덤벼든다. 허무
맹랑한 놈일세. 저게 무슨 벌레인고?
<!--[if !supportEmptyParas]--> <!--[endif]-->
"사마귀라는 벌레입죠. 앞으로 나갈 줄만 알지 물러설 줄은 모르는
놈입니다.”장공은 고개를 끄덕였다. 저 벌레가 사람이라면 틀림없이
용맹스런 용사가 되었을 것이다. 비록 미물이지만, 그 용기가 가상하
니 벌레가 상하지 않도록 돌려 가도록 하라”고 명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장공>은 미물이 앞뒤를 가라지 않고 제 존재를 드러내는 모습에서
용맹성을 본 것이다. 제가 가진 모두를 버려 뜻을 세우고 구하는 일
은 미물일지라도 기릴만하다 .“무실(無失)이면 무득(無得)”아니냐.
잃어버리는 것을 두려워하면 얻는 것도 없다. 매사에 물러섬만이 능
사가 아니라는 말을 한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에 반해 ’당랑지부(螳螂之斧)‘라는 말이 생겼난 것이다.
수레에 맞서는 사마귀의 어리석음이 밉지는 않겠지만, 제 분수도 잊
고 달려오는 수레를 막아선다면 그 운명은 어찌 되겠는가. 어리석은
사마귀처럼, 제 처지나 분수를 잊고 무모하게 대드는 사람을 빗대어
'당랑지부'라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나서야 할 때가 있으면 물러설 때가 있는 법이다. 때가 아니면, 때가
오기를 기다려야 하지, 그 분별을 모르고 일삼아 억지로 나서면 화를
부른다. “훌륭한 장수는 섣불리 나서서 싸우지 않고 이기는 법을 궁구
한다. 그리하여 한 치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한 자 뒤로 물러 난다.”고
노자는 말했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세익스피어는 <리어왕>에서 늙은 백작은 인간성의 한계를 자각한
뒤에야 “눈이 보일 적에 오히려 헛디뎌 넘어지곤 했다”고 말했다.
눈이 보이지 않는 자는 조심하는 까닭에 넘어지지 않지만, 눈 뜬 자는
오만함과 경솔함 때문에 작은 돌부리에 넘어지는 법이다.
사람은 편안함 속에서 나태해지고, 역경과 시련 속에서 단련된다.
다산 정약용이 18년이라는 긴 유배생활을 견디면서 이렇게 말했다.
“빈곤하고 곤궁한 괴로움이 그 심지를 단련시켜 지식과 생각을 툭 틔
워주고, 세태의 진실과 거짓된 형상을 두루 알게 해 준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운명을 사랑해야 한다는 말은 “물 안에서 헤엄쳐야 할 제 운명을 원망
하지 말고, 그 운명을 사랑함으로써 마침내 헤엄치기의 달인이 되는
것이다.” “연은 순풍이 아니라 역풍에 가장 높이 난다.”고 윈스톤 처칠
은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