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supportEmptyParas]--> <!--[endif]-->
부족한 재능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어느 순간 길이 열리게 된다. 노력하다
안 된다고 중간에 포기하려는 생각만 버린다면 무슨 일이든지 해낼 수 있다.
백열등을 만든 에디슨이 이렇게 말 한다.
“나의 발명은 나보다 먼저 고안한 사람이 멈추고 떠난 그 자리에서 시작되었다.”
20세기 미술계 거장 피카소는 창작의 천재이자 모방의 천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니 당신도 부족한 게 있거나 배우고 싶은 게 있다면 벽을 넘어선 고수를 찾
아라.
<!--[if !supportEmptyParas]--> <!--[endif]-->
18세기 조선 시대 실학자 박제가는 ‘벽’이 없으면 쓸모없는 사람일 뿐" 이라고
말했다. 누구나 벽이 있다는 말이다. 세종대왕은 좋은 문장을 보면 백 번을 읽
고 백 번 쓰기를 마다치 않았고, 바보 김득신은 책 한 권을 만 번씩 읽은 문장
가이며, 다산 정약용은 강진에서의 18년간 유배생활 중에 ‘목민심서’ 등 수많
은 역작을 남겼다. 이들이야말로 벽을 넘어선 시대의 고수들이다.
<!--[if !supportEmptyParas]--><!--[endif]-->세계적인 석학이나 거인들치고 한 분야에 바보처럼 천착 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
사람은 현실에 안주하려는 속성 때문에 나태해지고 더는 도약하지 못한다.
세상을 살아가며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 번은 정말 독해져야 한다.
세상이 뭐라 해도, 자신에게 독해져야 한다. 추호도 흔들림 없이 나가야 한다.
그래야 미래에 무엇인가 얻을 가능성이 생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세상은 놀랍게도 ‘적당히 일하며 적당히 사는 사람들에겐 적당한 대우만해준다.’
반면 무엇인가에 목숨을 걸고 미칠 정도로 몰입하는 사람에겐 그 이상의 보상으
로 돌려준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예수가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말라(누가복음)고
말 한 것도 먹고, 입는 것에 인생의 긴 시간을 빼앗기지 말고, 보다 큰 꿈을 꾸며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밥은 죽지않을 정도만 먹고 옷은 살이 보이지이지 않을
정도면 되지만, 공부만은 밤을 새워서 하라’고 한 성철 스님의 말씀도 다 같은 맥
락이다.
먹는 것, 입는 것, 손에 쥘 것, 감각적인 것에 모든 에너지를 쏟지 마라. 그 쪽 길
은 틀림없이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