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법구경에 나오는 말 중에 “짧은 쾌락에 긴 고통이 따른다.”고 했다.
유학의 교육목표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이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린다는 말로 수신(修身), 수양(修養)이 선행조건이다. 수신과 수양은 마음을
착하게 하고 행동을 바르게 하기 위해 마음과 몸을 닦는 행위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수신을 한다는 게 쉽지는 않지만, 일시적 충동이나 유혹의 강도를 줄이는 방법이
기도 한다. 결국 수신은 극단적인 이기심의 사악한 헛것을 버리는 것으로 남에게 인
정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인격완성을 위해 혼자 있을 때라도 도리에 어긋남
이 없도록 삼가고 조심하라는 “신독(愼獨)”하는 자세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서양의 자기절제나 동양의 수신, 수양은 즉흥적이고 순간적 쾌락보다는 미래의
더 큰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귀중한 덕목으로 미국의 스탠포드대학의 미셀교수의
마시멜로 실험을 통해서 잘 드러나고 있다. 마시멜로란 초코파이 사이에 든 하얀
설탕젤리 같은 것으로 그 맛이 정말 달콤해서 아이들이 무지 좋아하는 음식이다.
이 실험 연구진들은 653명의 네 다섯 살배기 아이들에게 마시멜로를 주며 지금 먹어
도 좋지만, 15분만 참고 기다리면 하나를 더 주겠다고 한 후 15분간 자리를 비워주
고 아이들의 반응을 살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어떤 아이들은 당장의 유혹을 참지 못하고 바로 먹었고, 다른 아이들은 용케도 15
분을 참아내고 마시멜로 하나를 더 받았다. 하나를 더 얻고자 인내와 절제를 선택한
아이들은 집중력도 더 높았고 학교 성적도 좋았으며 교우관계도 매우 원만했다. 연구
진은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성장과정을 지켜보며 그들이 겪는 성공과 실패
에 대한 정보를 면밀히 수집해보았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참을성 있게 하나를 더 받기를 기다리기로 선택한 아이들은 40년이 넘은 세월 동안
어떤 분야를 측정 하든 기다리지 못한 아이들보다 계속해서 더 좋은 성과를 보였고 성
공한 중년을 살고 있는데 반해 자기 절제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비만, 약물중독, 사회부
적응 등의 문제를 가진 어른으로 살고 있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절제와 자제력이야말로 성공에 꼭 필요한 삶의 기술이라는 점을 입증해준 것이고
높은 성취를 이룩할 토대가 되는 기술 중 하나인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목표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보상을 의도적으로 지연할 줄도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이처럼 세상은 참을성 있고 자기 절제력이 강한 관찰자에게 놀라운 비밀을 보여준다.
절제력과 자제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행동이 어렵다는 것은 곧 현재의 즐거움과 쾌락
보다는 먼 미래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것이 힘들다는 뜻과 같은 말 아닌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 상황과 미래의 자아를 연결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신은 나날이 새롭게 되는 일이다.
<대학>에 쓰여 있는 ‘일일신, 우일신(日日新, 又日新)’ 이란 ‘진실로 하루를 새롭게
하고 날마다 새롭게 하고 또 새롭게 해야 한다’고 한다. “날마다 진보하지 못하면
날마다 퇴보한다.”고 근사록에도 쓰여 있다.
인내와 절제를 유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현재의 자아와 미래의 자아가 단절되어있
다는 근거가 된다. 예를 들면 좋지 못한 식습관과 술 담배 이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한다
는 점을 충분히 알면서도 잘못된 습관을 고치지 못한다는 말과 같다. 바르지 못한 행동
이나 함부로 내뱉는 말들이 후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터이니 현재 자신의 모습을 매래
상황에 대입시켜보지 못하면 그때 가서야 얼마나 힘들지, 그때 생길 비용이 얼마나 될지
도 파악해야 한다는 말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나는 이 마시멜로의 교훈이 인생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기준이라 생각한다. 자신의
미래를 위해 현재의 고통을 감수할 수 있는 자제력이 다가올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다릴 수 있는 힘이란 수신(修身)에서 비롯되는 자기절제이며 자
기 관리다. 당신의 삶에서 심각한 문제들이 생겼다면 <부족한 수신> 때문에 일어난다
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법구경에 “짧은 쾌락에 긴 고통이 따른다.”고 했다.
기다림은 삶의 많은 영역에서 경쟁력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단지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지 못할 뿐이다. 데이터 과학자 포웨이에 의하면 협상에서 더 나은 성과를 거두
는 사람은 결코 먼저 가격을 제시하지 않으며, 시간을 벌어 협상의 속도를 늦추는 사람
이다. 프로 테니스 선수들의 강력한 서브를 받을 수 있는 주요인은 빠른 발이나 눈보다는
일반인들 보다 0.05초 더 기다렸다가 반응하는 능력에 있다고 한다. 주식시장에서도 자
주 팔고 사는 사람이 그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리는 사람보다 손해를 더 보는 게 사실
이라고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우리는 뒤로 미루거나 꾸물거리는 것이 무조건 나쁜 것, 없애야 할 습관으로 인식하지만
사실 많은 경우 그것이 오히려 성공전략이라는 것이다.
기다림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지하철 환승역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
게 된다. 높은 계단을 오르기 힘들까 봐 편히 가라고 설치한 시설인데도 서둘러 뛰어오른
다. 매우 위험하며 나쁜 습관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프랑스 엄마들이 어린아이들에게 하는 말 가운데 가장 많이 쓰는 말이 있다.
‘아탕(Attends)’이다. 아이가 뭘 달라고 하거나 무슨 행동을 하려고 할 때 지금은 안 돼
기다려 라고 하는 말이다. 그 말을 반복해 들으면서 아이는 모든 일에는 시간이 필요하고
기다려야 한다는 사실을 배운다. 서두르지 않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우리 엄마들과는 대조적이다. 우리는 천천히 사는 법을 자연스럽게 익힌 경험이 없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짧은 인생을 서둘러 산다면 나중에 더 이상 행복을 기다릴 시간이 없게 된다. 조금 더
천천히, 조금 덜 쓰면서, 꽃에 감동할 줄 아는 삶을 살지 못하고. 더 벌고 더 소유하는
것이 삶의 중요한 가치로 변해 버렸다.
그 결과 사회 곳곳에서 대형사고가 빈발하고 있는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