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휴브리스(hubris)
  • 2021-12-14
진서리
           휴브리스(hubris)







  인간이 신(神)의 영역까지 침범하려는 과도한 오만함을 가리키는 말로


‘휴브리스(hubris)’라는 말이 있다. 그 오만함을 내려놓지 못한 지도자들


의 최후는 오랜 세월 견디지 못하고 추락해버린다는 뜻이다.





역사학자 헤로도스는 “신은 항상 가장 큰 집들과 가장 큰 나무에 벼락을


친다. 신은 월등히 큰 것을 무엇이든지 줄이려 한다.” 지나치게  뛰어난


들을 깎아 내리려는  신께서는 자기 외에 다른  존재가 잘난 채 하는 것을


허용하시지 않는다. 고 했다.





역사학자 토인비가 ‘과거에 성공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과 방법을 과신해


과거에 했던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큰 오류에 빠지게 된다“ 는 뜻으로


용하면서 아주 유명해진 말이 휴브리스다.   토인비는 ’‘역사의 연구’라는


에서 문명이 쇠퇴하는 유력한 원인의 하나로<오만>을 꼽았다. 등산을해


봐도 정상은 언제나 잠깐 머무는 곳이다.





  하버드 대학 퍼커슨 교수는 ‘제국의 몰락은 한 밤 도둑처럼 어는 날 갑자


찾아온다”고 말했다.  이런 말만  명심했어도  추락하거나 파멸을 면했을


을 사람을 주변에서 많이도 본다. 그래서 하는 일이 너무 잘 풀린다. 싶으면


떠 올려 볼만한 글 아닌가.  지나치게 우쭐대지 밀고 신중에 신중을 기하라


하라는 교훈이다.





  과거에 한 번 성공한 조직이나 개인은 자신이 성공하게 된 능력과 방법


우상화하는 경향이 아주 강하다는 것이다. 과거의 성공과 신화에 취해서


서 시대적 상황과 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과거의 습관과 방식만을 답


습하게 되므로 결국 조직이나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방해하는 암적 존재로 등


장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순조롭게 풀릴 때가 있다. 이때가 가장 조심할 때다.


거절하기 힘든 유혹에 굴복하기도 하고 권력에 도취되어 쉽게 분노에 휩싸이


기도 한다. 그래서 잘 나갈 때 경고의 말로 쓰이는 말이 있다.


 


        “메멘토모리(memento mori) 즉 죽음을 기억하라





옛날 로마에서는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고 개선하는 장군이 시가행진을 할 때


노예들을 시켜 행렬 뒤에서 큰 소리로 ‘메멘토모리’를 외치게 했다.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우쭐대지 말라는 의미다. 오늘은 개선장군 일지라도 너도 언젠가


는 죽는다. 그러니 겸손해야 한다. 진정한 영웅은 자만을 경계한다. 잠시 승리


를 기뻐하지만 지금까지의 승리가 단지 운이 따랐을 뿐다. 라고 깨닫는 겸


손한 사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