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제행무상(諸行無常)
  • 2021-10-22
진서리
     제행무상(諸行無常)

<!--[if !supportEmptyParas]--> <!--[endif]-->


  현실 세계의 모든 것은 매 순간마다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다는 말이다.


항상 불변하는 것은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을 바란다.


거기에 모순이 있고 고()가 따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사람의 마음도 마찬가지다.


서로 사랑할 때는 아무 조건 없이 마주보기만 해도 좋았다.


그러니 목소리도 부드럽게 속삭인다.


두 가슴의 거리가 가깝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소리를 지르는 관계는 가슴이 멀어진 관계다.


소리친 다음의 침묵은 가슴이 죽어버렸음을 알려주는 신호다.


무상(無常)하지 않은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마주보기가 힘들어진다.


마주 본다는 건 정말 똥줄이 빠지게 힘들어 진다.


엄마의 얼굴만을 마주 보던 아이도 어른이 되면서 다른 곳을


보기 시작한다. 남편이 돈을 잘 벌어올 때는 마주보다가 은퇴


후 수입원이 없어지자 아내는 다른 곳을 본다.


아 변했구만 !


이 또한 無常하지 않은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나는 당신만을 사랑합니다.”


이게 진실이라면 엄마가 아이를 보듯, 아이가 엄마를 보듯


언제든지 마주 볼 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제 마주보기를 하지않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기 시작한다.


영화나 연극을 본다. 그런데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별 재미를


느낄 수가 없다. 그러면 딴 사람을 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파탄이 난다.


모순이고 이 또한 고() 아닌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래서 처음부터 안전거리(安全距里)를 지켰어야 했다.


연인 사이도, 친구사이도, 형제사이도, 부모자식 사이도,


안전거리가 필요했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하지 않던가. 


지나치면 모자람보다 못하다는 말 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어릴 적 어머니께서 늘 타이르는 말이 있었다.


   “사이좋게 놀다 오너라


사이는 적당한 거리를 뜻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시인 칼린 지브란은 <사랑을 지켜가는 거리>라는 시에서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함께 있되 거리를 두라.


      그래서 하늘 바람이 너희 사이를 춤추게 하라.고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사이란 속된 말로 난로를 대하듯 하라는 뜻이다.


너무 춥지도 않게, 너무 뜨겁지도 않게 적당한 거리를 두라는 말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시인 고은은 <순간의 꽃>이라는 시에서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내려 갈 때라도 본 사람이라면 얼마나 다행인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세월이 차면 생명도 가기 마련이다.


생명이 다하면 돈인들 명예인들 다 무슨 소용인가.


시신에 입히는 수의(壽衣)에는 주머니가 없다 하지 않던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불교사상인 <제행무상>의 진리를 깨친다면 삶의 무게가 훨씬


가벼워 질 것이다.


반야심경의 핵심은 색즉시공(色卽是空)이다.


여기서이란?


세상의 모든 것은 있다가 없어지는 것, 있다가 사라지는 것.


땡 중이 아닌 승려들이 세상을 잊고 깊은 산속에서 수행에 몰두할 수


있는 힘은 다 이 <사상>에서 나온다고 볼 수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