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supportEmptyParas]--> <!--[endif]-->
“씨(종자)과일은 먹지 않는다.”는 말로 주역에 나오는 글이다.
동서고금의 수많은 언어 중에서 내가 가장 아끼는 희망의 언다.
내게는 절망을 희망으로 일구어내는 보석 같은 금언이다.
석과(碩果)는 가지 끝에 남아 있는 최후의 ‘씨과실’이다.
불식(不食)은 먹지 않는다는 말이다.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심한 욕설 가운데 이 씨앗을 먹거나 팔아
치우면 씨0팔년, 씨0할놈 이라 하지 않던가.
희망이 없다는 욕설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초겨울 삭풍 속의 씨과실은 역경과 고난의 상징이다.
고난과 역경에 대한 희망의 언어가 바로 ‘碩果不食’이다.
씨과실은 먹지도 팔지도 않고 땅에 심는 것이다.
땅에 심어 새싹으로 키워내고 다시 나무로, 숲으로 만들어 가는
일이다.
<!--[endif]-->
이것은 절망의 세월을 살아오면서 길어 올린 옛사람들의 오래
된 지혜다. 그런 점에서 碩果不食은 단지 한 알의 씨앗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가 지키고 키워야 할 희망에 관한 철학이다.
<!--[if !supportEmptyParas]--><!--[endif]-->
돈으로 따지면 종잣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