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隣) <!--[if !supportEmptyParas]--> <!--[endif]--> 德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덕(德)이 뛰어나 존경받는 인물을 ‘성인(聖人)’이라 한다. 성인이란 인간이 인간의 수준에서 인간으로서 품위를 잃지 않고 행동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덕(德)’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인간을 지탱 하는 무엇으로서 인간을 품위 있게 움직이게 하는 힘, 동력을 말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논어에 나오는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隣)”이라는 말은 <덕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다>는 뜻으로 ‘덕’ 자체에서 감동 이라는 향기가 우러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德’을 갖춘 사람은 하고 싶은 말을 참고 안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우리 모두가 경험해 봤지만, 하고 싶은 말을 참거나 다른 사람에게 들은 말을 옮기지 않고 혼자만 가지고 있기가 얼마나 힘든 일인가. 이 힘든 일을 해내면 훌륭한 인격자로 인정받지만 힘든다고 지키지 못 하면 믿을 수 없는 사람이나 거벼운 사람으로 치부되기 쉽다. 심지어 예상치 못한 큰 화(禍)를 부를 수 있다. “口是禍門(구시화문)”이라 하지 않던가. 입이 곧 재앙의 문이니 말을 조심하라는 의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렇다면, 하고 싶은 말을 참거나 말을 이리저리 옮기지 않을 수 있는 그 힘은 어디서 나올까? 그 힘이 바로 덕(德)인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논어에서 “길가에서 들은 소문들을 여기저기 옮기고 다니는 것은 덕이 없기 때문이다”라 고 말했다. 말은 중요한 소통의 수단이다. 좋은 말도 나쁜 말도 같은 입에서 나온다.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복이 되기도 하고 화가 되기도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