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우울증
  • 2020-08-09
진서리





   

                     우울증

 

       가까운 지인이 심한 <우울증>으로 고통스럽게 살아가고 

있다. 몇 년 전에는 내 누나도 같은 증상으로 수년 동안 요양원

생활을 하시다  세상을 등졌기에  나는 우울증에 대해 무심 할

수가 없었던 차에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베스트셀러 작가 요한

하일리의 <물어봐주어서 고마워요>라는 책을 주문해서 읽었다.

  의사들의 말처럼 우울증이 그저 뇌 속 호르몬 불균형 때문이

라면 왜 약으로 치료되지 않는 걸까? 왜 전 세계 35,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우울과 불안떨치지 못하는 걸까?

그 이유를 이 책의 저자 요한 하일리는 바로 단절이라고 말한다.


   * 의미 있는 일로부터의 단절,

   * 타인과의 단절,

   * 자연과의 단절,

   * 가치와의 단절,

   * 지위와 존중으로부터의 단절,

   * 안정된 미래로부터의 단절


  불안과 우울의 원인은 다른 사람과의 단절에 있다는 것이다

특이 노인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단절된 외로움, 기댈 수 있는

유대감의 상실 등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자신이 아직도 쓸모 있다는 감각을 잃어버리고 삶의 의미로부터

단절되어 왜 사는지 모르게 되면 마음 속에는 굴욕감수치심이

자라게 되고 그것이 우울증에 심한 영향을 미치고 생명력을 갉아

먹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경제적 가난도 노후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다.

가난과 우울은 상관관계가 높다.

돈은 보험과 같은 것이어서 불안정에서 벗어나 숨을 쉬게 한다.

가난은 사람을 우울과 불안의 심리를 강화 시킨다. 고 말 한다.

 

우울증을 해소 시킬 수 있는 대안은 무엇일까?

일가친척, 가까운 이웃이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당신에게 묻는다.

답은 결국 단절의 반대, 진실한 사랑 <유대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