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 2020-04-02
진서리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선택지가 많을수록 우리는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만족스런 결정을 방해한다는 현상을 선택의

패러독스라고 한다.

너무 많은 정보에 둘러싸이면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진열대에 6가지 잼이 있을 때는 물건을 살펴본 사람의 30%

잼을 구입했지만 종류를 24가지로 늘리자 겨우 3%이 잼을

장바구니에 담았다는 실험결과가 있다.

 

   ‘분석하지 말고 통찰하라. 2초가 모든 것을 가른다.’

말콤 글래드웰 <블링크>라는 책에서 한 말이다.

우린 새로운 사람을 만나거나, 복잡한 일을 맞닥뜨리거나, 긴박한

상황에서 결정을 해야 할 때마다 순간적으로 솟아오르는 처음 2

판단이 몇 개월의 분석 자료보다 정확하고 강력하다고 말한다.

 

 '블링크' 란 무의식적으로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때나 긴급한 상황

에서 신속하게 결정을 내려야 할 때, 2초 동안 우리의 무의식

에서 섬광처럼 일어나는 순간적인 판단을 뜻한다.

....................................

  점쟁이들은 사람들의 얼굴 앞에서 이런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점을 보러 들어오는 사람의 표정과 자세, 옷매무새만 봐도 이 사람

이 무슨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지 무슨 얘기를 듣고 싶어 할 지

딱 보면 안다.’이 딱 이라는 게 그들의 더듬이고 감각이고 통찰이다.

그들은 추가적으로 몇 가지 탐색질문을 해보고 거의 확실하게 내담

자의 상태를 진단해준다. 참 용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하루에도 수없이 크고 작은 결정을 한다.

잘 한 결정도 있고 후회하는 결정도 있다.

 

  어떻게 하면 좋은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을까?

의사 결정에는 직관과 숙고가 요구된다.

직관은 즉각적으로 의사 결정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숙고는 이해관계자가 있으면 이들의 이해를 얻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훌륭한 의사결정은 직관과 숙고의 조화가 필요하지만 우리

파생인들 에게는 95%가 직관에 의지한다.

미국의 대표적인 투자자 피터 린치, 조지 소로스, 버핏, 빌게이츠

등도 매번 죽느냐 사느냐 하는 갈림길, 항상 생과 사의 경계선에

서 있기 때문에 그들도 늘 긴장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장고 끝에 악수난다 하지 않던가.

오래 생각하고 내린 결론이 오히려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음을 경고하는 말이다. 반대로 섬광처럼 떠오른 신속한 결정이

일면에서는 신중한 결정만큼이나 좋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돌다리도 두들겨 건넌다.’는 조심성이 지나치면 적시의 타이밍

놓치기 쉽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첫인상이나 은 모두 이

범주에 속하는통찰이다. 완벽하진 않더라고 80%정도 괜찮다

거든 신속하게 실행하는 게 맞다.

 

   문제는2초의 기은 운 좋은 소수에게 마술처럼 주어지는

재능이 아니라 우리가 갈고 닦을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꾸준히 정보를 축적하고 의식을 훈련시켜야 한다.

순간의 본능을 학습시켜야 한다는 말이다.

 

  순간의 기적? 그것은 경험의 축적이다

무의식에서 나오는 이 강력한 진실은 기실, 뼈를 깎는 노력과

고뇌의 산물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