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나라 때에 주역 천문 지리 등에 통달한 마의선사는
50 이 넘어서야 아들 둘을 낳았는데 늦게 본 자식들이라
금지옥엽으로 키웠다. 그러던 어느 날 훌쩍 자라 소년이 된
두 아들 사주팔자를 보게 되었다. 그랬더니 큰아들은 재상
이 될 운이고 둘째는 거지가 될 팔자였다 마의선사는 곧 두
아들을 불러놓고 하는 말.
“첫째야 너는 다음에 재상이 될 팔자이니 공부를 해야 한다.”
“둘째야 너는 거지팔자가 될 운명이니 그냥 잘 먹기나 해라.”
애비가 한 번도 틀린 적이 없느니라.
거지팔자라는 소리에 충격을 받은 둘째는 집에 있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고 아버지께 작별인사를 하고 노잣돈 몇 푼 받
아가지고 세상 속으로 나간다. 그러던 어느 날 가진 돈은 다
떨어지고 배가고파 어느 부자 집 문 앞에서 “밥 좀 주세요.”
구걸하여 밥 한 그릇을 게 눈 감추듯 비워냈지만 다음끼니가
걱정이 되었다. 그때 시끄러운 소리가 들려 돌아보니 들에 나
갔던 머슴들이었다. 먹 거리, 잠잘 거리 걱정하지 않는 그들이
부러워 그 집 머슴이 되기로 작정하고 주인에게 간청을 하여
그날부터 부지런히 일하게 되었는데........
2년쯤 지났을 때 주인이 곡간지기로 발탁해주어 더 열심히
일했더니 주인이 무남독녀인 자기 딸과 혼인을 시키려고 한다.
그래서 둘째는 부모님께 허락을 받기위해 고향으로 내려간다.
그동안 살았는지, 죽었는지 소식을 몰라 애태우던 마의선사는
늠름한 청년으로 성장한 둘째가 재상감으로 변해있는 것을 보
고 놀라지 않을 없었다. 거지팔자를 타고난 둘째는 자신의 노력
으로 후일 재상까지 하게 되었는데.......
재상이 될 팔자라고 했던 큰 아들은 늘 방탕한 생활로 세월을
보내 다가 거지가 되고 말았다.
<마의선사가 사주팔자에 대해 남긴 교훈이다.>
“사주(四柱)는 신상(身相)보다 못하고
신상(身相)은 심상(心相)보다 못하다.”
결국 심상이 으뜸 이니라.
"내 마음이 꽃밭이면 벌 나비가 날아오고
내 마음이 시궁창이면 파리 모기가 들끓는다.”
믿음은 산을 움직이고 그 믿음이 쌓이면 행동으로
이어지는 법 아닌가. 성경(히브리서11장)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다.”라고 했다.
유명한 심리학자 제임스는 말이다.
생각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성격이 바뀌고
성격이 바뀌면 인격이 바뀌고
인격이 바뀌면 운명도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