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공(石工)이 돌덩이를 두드린다.
똑같은 위치를 쉬지 않고 망치질을 한다. 돌덩이는 꿈쩍도
하지 않는다. 그러다 어느 순간 돌덩이가 갑자기 두 쪽
으로 쪼개진다.
그렇다면 몇 번째 망치질이 돌을 쪼갠 것일까?
100번째일까 아니면 101번째일까.
만약 쪼개지지 않는 돌이라 여기고 포기했다면, 그는 쪼개
지기 몇 번째 전에서 포기한 것일까.
그렇다!!!
수많은 망치질 모두가 돌을 쪼갠 에너지라 할 수 있다.
‘리차드 바크’의〈갈매기의 꿈은 열여덟 곳의 출판사로
부터 거절을 당했다가 마지막에 맥밀란 출판사를 통해 발
행 될 수 있었다. 그리고 5년 동안 미국에서만 700만 권
이 팔려나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작가 ‘미젤’은 자신의 작품을
들고 출판업자를 찾아가 상담하는 과정에서 80차례 거절
을 당했으며, 81번째에 이르러서야 발행이 되었다.
‘헤밍웨이’의〈노인과 바다>는 400번을 넘게 지우고 고치
고 또 고치는 과정을 겪은 뒤 출판되었다고 한다.
그 어떤 일도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은 추구하는 목표가
없어서가 아니라 난관에 부딪힐 때마다 포기하기 때문이다.
남들이 불가능하다고 말 할수록 과감하게 부딪혀라.
그러지 않으면 돌은 절대로 쪼개지지 않는다.
누구보다 많은 시간, 많은 연구,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
데도 역경은 예고 없이 찾아온다. 그런데 역경으로부터
배우지 않으면 진화와 성장은 없다.
역경이 없다면 성장도 없다.
위대한 사상가들은 ‘역경은 가치 있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시험대’라고 결론을 내린다.
사람 대부분은 역경과 고난을 이겨낼 인내심이 부족해
성공 직전에 포기하는 경향이 많다. 인내심이란 지속해서
좌절에 맞서고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도전을 멈추지 않는
과정을 말한다. 절망에서 희망을 본다하지 않던가.
더딘 속도로 가더라도 포기하면 안 된다.
당신이 포기하려는 순간 돌이 쪼개지는 성공 직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