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을 알아 리컬러스 에플리의 <마음을 읽는다는 착각>이라는 책을 읽다가 밑줄 친 곳을 찾아 생각해 본 것이다. 6년 이상 함께 산 부부가 상대를 타인 보다 더 잘 알까? 상대의 자존감에 대해 물었다. 상대에 대한 자신의 짐작이 맞을 거라고 생각하는 비율과 실제 맞힌 비율 사이의 차이는 모르는 사이보다 훨씬 컸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상대의 자존감에 대한 질문 10개 중 8개는 맞힐 거라 생각했는데 실제 맞힌 건 10개 중 4개 뿐이었다. 처음 본 사람들은 적어도 서로 알지 못한다는 전제라도 까는 데 부부는 잘 알지 못하면서 ‘네 마음은 내 손금 보듯 한다.’고 더 많이 착각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상대의 마음을 척하면 알 수 있다는 과도한 확신을 버리고 ‘물어보고, 들어 보라.’고 말한다.
타인을 잘 알고 있다는 착각은 이렇게 다양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이걸 극복하려면 혼자서 추측하지 말고 바로 솔직하게 물어야 한다. 잘 알고 있다고 지레짐작으로 내가 알아서 행동하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모르면 물어보고 상대방의 감정을 파악하고 상황을 이해하며 받아들여한다. 묻지도 않고“이럴 것이다, 저럴 것이다.”라고 내가 판단 내려 행동한다면 걷잡을 수없는 상황으로 갈 수 밖에 없다. 많은 연구 결과 자신에 대해 솔직하고 타인에게 묻는 것이 훨씬 더 용 기 있는 행동이고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아무리 싫은 사람도 막상 직접 만나 이야기를 하면 그 사람에 대해 좋아질 수 있다. 나랑 너무 안 맞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 경우도 상대 방과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않아 그렇다고 말한다. 내 감정을 솔직히 이야기하면 상대방도 나에 대해 호감을 갖고 친절히 대한다. 그러니 절대로 ‘타인의 마음을 읽는다.’는 착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 물론, ‘내 마음도 읽을 수 있다는 헛된 망상’도 마찬가지다. 그래야 오해와 상처를 치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경(고린도전서15:31)에 사도 바울은 “나는 날마다 죽노라.”라고 했다. 날마다 죽어야 할 사람은 남이 아니라 바로 나다. 는 말이다. 나 없는 이 땅에 참 평화가 있고 사랑이 있다. 나 있고는 화평도 사랑도 없다는 말 아닌가. 나를 죽이는 십자가 없는 곳에 면류관은 없다. 는 것이다.
마태복음에서는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고 말한다. 사람이 제 목숨을 구하고자하면 잃을 것이요, 목숨을 잃고자하면 얻을 것이다. 라고도말 한다.
자신을 버림으로서 얻는다는 것이니 분명 역설이다. 그러나 이 역설이야 말로 영원한 진리 아닌가.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한다면 더 큰 고통을 언제나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중국 고전인 장자에 “백구과극(白駒過隙)”이란 말이 나온다. 인생이란 백마가 달리는 풍경을 문틈으로 내다본다는 것처럼 삽시간에 지나간다는 뜻이다. 젊어서는 꽤 느리게 느껴지지만 나이 들면 화살처럼 달리는 백마를 문틈으로 얼핏 본 것처럼 인생이 정말 빠르게 간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세월은 고장도 없다’고 가수 현철은 노래하지 않던가.
우리는 한 번 밖에 살지 못한다. 진실로 화평과 사랑을 원한다면 나를 내세우지 말자. ‘바다는 모든 것을 품는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