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안과전문의제공>
안구건조증이 있으면,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뻑뻑해져서 피곤하고
지친다.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증발하여 안구 표면이 건조해
지고, 손상되는 질환이다. 현대에는 눈을 혹사하는 경우가 많아 안
구 건조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인공
눈물이나 안약 등을 넣어야 하지만 이보다는 생활 속에서 안구건조
가 더욱 심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안구 건조증 증상을 완화해주고, 뻑뻑한 눈을 풀어주는 방법은.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블루베리, 포도, 가지 등 주로 보라색 과일 채소에 많이 함유된 안
토시아닌은 안구의 피로와 뻑뻑한 느낌을 감소시켜준다.
특히 블루베리는 안구 건조증 예방과 야맹증 예방과 근시 완화에도
효과적이다
.
안구 건조증은 아침에 잠에서 깼을 때 심하게 나타난다.
수면을 취하는 동안 눈물 분비량이 줄기 때문이다.
이럴 땐 젤 타입 연고를 쓰는 게 효과적이다.
일반 점안액 보다 수분량을 2~3배 오래 보존하기 때문이다.
눈 주변 근육이 긴장해 발생하는 눈의 피로는 시력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안구 건조증의 원인이기도 하다.
눈의 피로를 풀기 위해서는 미간에 위치한 찬 죽혈을 자극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검지와 중지로 눈 주위 뼈대를 눌러주고, 눈
옆 관자놀이를 서서히 눌러준 후 눈썹 아래 움푹 들어간 곳을 엄지
로 눌러 주면 된다.
눈을 감은 상태로 눈동자 위를 가볍게 마사지한 뒤 손바닥을 비벼
따뜻해진 손으로 눈을 덮어주면 눈의 피로를 풀어준다.
안구 건조증엔 안구를 움직이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안구 운동법은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눈 근육을 탄력 있게 만들어
주며, 안구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① 눈을 뜬 채 위에서 아래로 안구를 움직인다(5회 이상 반복).
② 눈을 감은 후 아래에서 위로 5회 움직인다.
③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5회 정도 움직인 다음 손바닥을 비벼 눈 위를
지그시 눌러준다.
④ 눈을 감은 상태로 5~10분 정도 휴식을 취한 후 천천히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안구를 돌려준다.
이어 시계반대방향으로도 눈을 돌려준다.
성경(마태7:3)에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보지 못하느냐”고 한다. 형제란 가까이 있는 혈육, 친구,
친척 등 매일 보는 옆 사람일 수 있다.
우리는 먼데 있는 사람에게는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우리 속담에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고 하는 이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