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멈추지마라<!--[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정해진 길이란 없다.
길은 걸어가면서 만들어가는 것이다’ - 장자-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장자》의 가장 첫머리에 대붕(大鵬) 이야기가 나온다.
북쪽 어둡고 깊은 바다에 ‘곤(鯤)’이라는 커다란 물고기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鯤은 더 넓고 큰 세상을 보고 싶어 각고의 노력 끝에 ‘대붕’
이라는 새로 변신을 꿈꾼다.
大鵬은 한 번에 구만 리나 날아갈 수 있을 만큼 거대한 새다.
곤이 대붕이라는 아예 다른 존재로 탈바꿈하는 대변신은 거저 이뤄질리
있겠는가. 많은 다른 물고기들의 비웃음과 놀림을 감수해야 했었다.
천 년에 한 번 꼴로 바다 기운이 크게 움직일 때를 기다려야 비로소 변
신 할 수 있다. 대붕이 가고자 한 곳은 밝고 따뜻하고 자유가 있는 남쪽
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장차 나비가 될 애벌레는 항상 날아가는 꿈을 버리지 않는다.
그런데 사람들은 정해진 길이 아니면 발을 내딛으려 하지 않는다.
세상에 미지의 길은 얼마든지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희망이라는 이름 앞에는 언제든지 위기와 시련이 도사리고 있다.
위기는 또 다른 기회인 것이다.
희망이라는 수레바퀴가 굴러가려면 또 다른 길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길은 좌충우돌하면서 만들어가는 것이다.
미래는 그냥 오는 것이 아니고 만들어가는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우리는 종종 실수를 한다.
그 실수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운다.
왜 실수를 했을까?
의심해보는 깊은 성찰이 있어야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의심하고 또 의심해보는 깊은 성찰이 있었기에 프랑스의 철학자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언을
남길 수 있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think(생각)로 일관한 왓슨은 IBM을 창업했고.
think week(생각하는 주간)을 통해 빌 게이츠는 마이크로 소프트를
창업하고 think different(다르게 생각하기)로 스티브 잡스는 애플을
창업했다. 이들의 끊임없는 생각들이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새로운 길을 만들어준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아마존의 최고 경영자 제프 베조스는
“똑똑한 것보다는 친절한 것”이 훨씬 어렵다는 생각을 멈추지
않았기에 성공한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누군가의 한마디가, 책속의 한 구절’이 마음을 흔들고 가슴을
적시는 감동을 준다. 그로 인해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뿐 아니라
새로운 인생을 설계하는 지침으로 삼는다.
제발 ‘검색만하는 사람이 되지 말고, 사색’하는 사람이 되자.
<!--[if !supportEmptyParas]--> <!--[endif]-->
김광석의 노랫말에 “매일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다”를 타인과의
헤어짐으로만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어제의 내 몸과 다시는
만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