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짐’은 함께해야할 짐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바닥짐이란 선박의 전복을 막고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배의 밑바닥과 좌우
에 싣는 쇠붙이나 모래 따위의 중량물을 설치한 짐을 말한다. 거친 바다를 항해
하는 배가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은 배 밑에 채운 이런 바닥짐 때문이다.
우리 인생도 이처럼 무겁게 느껴지는 바닥짐이 있어야 고난을 극복하고 무너지지
않는다. 그래서 바닥짐은 버려야 할 짐이 아니라 함께해야 할 짐인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평생을 아프리카인들의 삶과 노예제도폐지를 위해 살아온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어느 모임에서 남들에게 말할 수 없는 고통을 어렵게 털어 놓았었다.
“집을 나가버린 방탕한 아들이 있었기에 그 아들을 생각하며 남들 앞에서 더욱 겸
손한 마음을 가졌고, 어려움을 당하거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만나면 외면
하지 않았다”고 고백 했다. 그런 마음이 노예제도 폐지운동으로 승화된 것 아닌가.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우리들에게도 이런 근심거리들이 삶에 발목을 잡고 있을 수 있다.
‘리빙스턴’처럼 장애물이라고 생각했던 근심거리가 우리 인생을 지탱하는 바닥짐일
수 있다. 바닥짐은 우리 안에 배려와 겸손을 채워 우리를 무너지지 않게 한다.
바닥짐은 버려서는 안 되는 짐이다. 인생을 지탱하는 버팀목 아닌가.
배 밑에 바닥짐을 실어야 배의 균형을 잡아 주는 것처럼 말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리빙스턴은 버림받은 검은 대륙의 구석구석을 누비면서 34년 동안 선교활동을
펼쳐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교사이자 탐험가가 되었다. 약 2만 9천 마일이나
되는 칼라하리사막을 세 번이나 횡단하는 고난을 이겨냈다. 사자에게 물리기도
하고, 때로는 수령에 빠져 죽을 뻔하고, 밀림에서 길을 잃고 헤매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이 모든 고난을 바닥짐으로 삼는 동시에 당연히 짊어져야할 짐으로
생각하고 이겨 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우리 인생 역시 마찬가지이다. 인생 항로에서 풍파가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시련과 고통을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조그만 풍랑에도 쉽게 좌초할 수밖에 없다.
시련과 고통을 견디어내면 이를 바닥짐삼아 어지간한 풍랑도 헤쳐 나갈 수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성경(시편 119편 71절)에도 “고난당한 것이 ‘유익’이라”했다.
고난의 때에 인간은 성숙하고 깊이 반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난당함으로 더 큰
유익을 얻게 되는 것이다. 넘지 못할 벽인 것 같은 힘든 순간을 겪는 분들이 있다
면 먼 훗날 내가 나를 돌아봤을 때 “장하다. 잘 견뎠구나. 그 일을 통해 나는 한
단계 더 성숙해질 수 있었지.”라는 고백을 할 수 있는 좀 더 큰 어른의 내가 존재
함을 깨닫게 될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