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수레바퀴를 깎는 목수
  • 2016-09-29
진서리
     수레바퀴를 깎는 목수


왕이 된 환공이 자기 방에서 독서를 하고 있었고,


목수는 뜰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었다.


불현듯 목수가 망치와 끌을 내려놓고 왕에게 다가가 물었다.



"폐하께서 지금 읽고 계시는 것은 무엇인지요?"


"성현의 말씀이라네."


"그러면 그 성현들은 살아 있습니까, 죽었습니까?"


"그야 오래전에 다들 죽었지."


"그렇다면 폐하께서 지금 읽고 계신 것은 옛사람이 남긴


찌꺼기로군요."


왕이 그 소리를 듣고 가만있을 리 없었다.


"수레바퀴 깎는 목수 주제에 무얼 안다고?


네 이놈!


당장 네놈이 한 말에 대해 이치에 닿는 설명해 보거라.


만약 그렇지 못할 시에는 목숨이 없어질 줄 알라!"


왕의 호통에도 불구하고 수레공은 전혀 흔들림 없이 대답했다.


"저는 어디까지나 제가 하는 일에서 얻은 경험으로 미루어 말씀드린


것뿐입니다."


"그래도 이놈이!"


수레공이 침착한 어조로 말했다.



"수레바퀴를 깎을 때 너무 깎으면 헐렁해서 바퀴가 쉽게 빠져버립니다.


덜 깎으면 너무 조여서 들어가지 않습지요.


그러므로 더 깎지도 덜 깎지도 않게 적절히 손을 놀려야 합니다.


그래야만 바퀴가 꼭 맞아 원하는 바대로 일이 됩지요.


하지만 이 기술은 손으로 익혀 마음으로 짐작할 뿐 말로는 다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그 요령을 심지어 제 자식 놈에게 조차 가르쳐 주질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나이 일흔이 넘도록 제 손으로 직접 수레


바퀴를 깎고 있는 것입니다.


수레바퀴 만드는 일에 나이가 70이나 됐으면 웬만한 작업 공정을 매뉴


얼로 만들어 놓고 실행하면 될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그는 정확하게 계량화될 수 없는 지점이 있다는 사실을 이야기


하고자 했다.




수레바퀴는 오늘날 자동차 바퀴처럼 사람의 생명과 직결된다. 한 치의


오차도 허용할 수 없는 정밀 작업인지라 계량화가 불가능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는 대량 생산되지만 수제 자동차는 훨씬 비싼 고가로 팔리


고 있다. 음식과 술의 경우 조리법대로 만들더라도 만드는 사람에 따라


손맛의 차이가 난다. 그래서 단골집 주방장이 바뀌면 우리는 발길을 끊


는다.




지침서에 이렇게 한다!”고 하지만 그것은 제안이나 권고에 불과하다.


책이란 과거에 이렇게 했다는 보고는 될 수 있지만 지금이나 미래에


이렇게 하고 이렇게 해야 한다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사람에게 닥치는 상황과 사건은 동일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몇 번의 경험으로 이것은 이렇고 저것은 저렇다라는


식으로 견적을 뽑고 결론을 내린다. 새로운 상황을 만나더라도 별다른 생


각을 하지 않고 앞서 내린 견적과 결론에 따라서 판단을 한다.


이렇게 한 번 마음이 굳어지면 여간해서 바꾸기 어렵다.


굳어진 마음에 어긋나면 잘못된 것이고, 일치해야만 올바르다고 말한다.


그래서 자신의 경험이나 체험을 진리인 것처럼 보편화해서는 안 된다.


세상은 내가 모르는 일로 가득 차 있다.


다만 내가 못 본 것을 먼저 본 이들의 경험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


우리 주변에 고수들이 많다.


내가 모르면 없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


나보다 먼저 보는 이들은 항상 남다른 노력 끝에 보게 되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