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전<회남자>에 나오는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고사성어는 초딩들도 다 아는 고사다.
인생사의 변화무쌍함은 예측하기 어려우니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말라는 뜻으로 한치 앞을
모르는 변화와 격동의 시기에 대응하기 위한 교훈이라는 생각이 들어 다시 이글을 쓴다.
옛날 중국의 국경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이 노인의 말(馬)이 도망치자 이웃들이 찾아와
위로의 말을 건넸다. 가난한 노인의 귀한 재산이 사라졌으니 지켜보는 이들도 안타까웠던 것이다.
하지만 노인은 태연히 말했다. "괜찮습니다.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압니까?" 이러한 노인의 말
을 듣고 비웃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그로부터 몇 달 뒤 도망쳤던 말이 암 말 한필을 거느리고 돌
아왔다. 그러자 이번에는 주변 사람들이 축하를 했다. 하지만 노인은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압니까
?"라며 전혀 기쁜 내색을 하지 않았다. 몇일 후 노인의 아들이 말을 타다가 그만 말에서 떨어져 다
리가 부러지고 말았다. 노인은 이 때에도 "이게 복이 될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하며 전혀 내색을
하지 않았다. 얼마 후 변방에 오랑캐가 쳐들어와 온 나라에 징집령이 내려져 많은 젊은이들이 입대
하게 되었다. 그러나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부러졌기 때문에 징집을 면해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는 얘기다.
여기서 우리는 인생에서 겪는 모든 일에는 "무조건 좋은 일도 무조건 나쁜 일도 없다"는 것을 알
게 된다. 좋은 일이 생기더라도 방심하거나 교만해서도 안 되며 설사 당장 상황이 어렵고 힘들더라
도 절망하거나 낙심할 필요가 없다. '새옹지마'의 고사는 "화는 복이 의지하는 바이고 복은 화가
잠복하는 곳이다."라는 의미로 삶에 적용해 실천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고 있다.
<주역>의 핵심적인 철학 가운데 하나로 "물극필반(物極必反)"이라는 사상이 있다.
"모든 사물은 극에 달하면 되돌아간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황룡유회(黃龍有悔)"라는 의미
로 '최정상(피크) 올랐다면 다음에는 반드시 내리막이 온다'는 말 아닌가.
우리의 인생사도 번성할 때가 있으면 저물 때가 있고, 심하게 어려워도 바닥을 치면 그 때부터 다
시 솟아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말들을 마치 내가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운명이 모두 결정해
준다'는 운명론으로 받아드려서는 안 된다. 여기에는 반듯시 전제조건이 있다.
변하고 변해야 살아 남는다.
오늘 날은 무한 경쟁의 시대다.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개발되고 뛰어난 경쟁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럴 때 상황이 좋다고 자만한다면 새로운 강자에게 먹히고 말 것이다.
다시 한 번 더 말하지만 "화(禍)는 복(福)이 의지하는 바이고, 福은 禍가 잠복하는 곳이다."
고난과 실패로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희망의 메시지'로 삼으시고, 성공에 도취되어 방심
하고 계신분이 있다면 부디 '경계의 말'로 삼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