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석꾼 며느리가 된 사연
옛날 어느 만석꾼이 며느리를 시험 쳐 뽑겠다는 광고를 냈다. 그 광고 내용인즉
“쌀 한 말을 가지고 노비와 둘이서 한 달을 살면 신분, 미추, 지방색을 따지지
않고 며느리로 삼겠다는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규수들의 꿈은 큰 부자 집 며느리가 되는 것 아닌가.
전국 방방곡곡에서 응모하려는 규수들이 구름같이 모여들고, 가는데 마다 수군
거리는 것은 신데렐라 탄생에 대한 기대와 선망이었다.
그러나 몇 달이 지나도 만석꾼 며느리가 뽑혔다는 소식이 없고 보니 사람들은 만석
꾼을 씹기 시작한다.
밥 많이 먹는 며느리가 들어올 가봐 그런 시험문제를 낸 게 아니겠느냐며 그의 인색
함을 탓한다.
시험을 치루는 규수들은 하루 두 끼 죽으로 한 달을 연명할 요량으로 쌀 한 말을
예 순 개의 봉지에 나눠 담아두고 멀건 죽을 쑤어 노비와 둘이서 끼니를 때운다.
처음 몇 칠 은 견딜 수 있었으리라. 그러나 너 나 없이 움직이면 배가 꺼질세라 손끝
하나 까딱 않고 앉아 있자니 떠오르는 것은 먹을 것뿐, 아귀지옥이 따로 없다.
시험을 치루는 규수들 대부분은 보름을 넘기지 못하고 초죽음이 되어 기어나가거나
업혀 나간다.
금강산 도 식후경이라 하지 않던가.
세월이 지나자 응모하려는 규수들의 발길이 끊어지고 안 방 마님은 삼 대 독자 총각
귀신 만들게 되었다고 머리 싸매고 눕지만, 만석꾼은 그의 고집을 굽히지 않는다.
그럭저럭 3년 이라는 세월이 지난 어느 날 이웃 마을 가난한 대장간 집 딸이 며
느리 뽑기에 응시한다. 쌀 한 말을 들고 나타난 노비에게 쌀 반말은 시장에 가서 쇠
고기로 바꿔오라 하며 쌀밥에 쇠고기 국으로 포식하고 나서는 “너는 시장에 나가서
일 감 좀 얻어오너라, 배불리 먹었겠다 놀면 뭐하냐. 젊은 것들 둘이서 열심히 일
하면 설마 배곯겠냐.”어느 날 만석꾼은 이 규수도 벌써 업혀나갔을 것으로 알고 찾아
가 본다.
어쩐지 집안에 부티가 흐르고 부엌을 들여다보니 크고 작은 항아리마다 곡식이 소복
하게 담겨있지 않은가. 어디 그뿐인가 도란도란 얘기소리가 흘러나오는 방안에 노비
는 뽀얗게 살이 올라 달덩이 같고, 노비와 담소를 나누며 열심히 삵 바느질을 하고 있
는 의젓한 자태의 대장간 집 딸 ! 아니 만석꾼 댁의 며느리가 되고도 남을 규수 !
쌀 반말을 밑천으로 살 길을 열줄 아는 지혜롭고 사려 깊은 며느리를 원했던 만석꾼
은 이런 규수라면 만석재물을 맡겨도 된다는 확신을 가진다.
발상의 전환이란 대게 이런 것이다.
‘하늘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하지 않던가.
시각의 새로움 ‘발상의 대전환’에서 새로움은 태어나는 것이다.
성경 <마태복음>25장 달란트에 대한 비유가 나온다.
달란트란 당시 통화단위 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각 개인에게 부여된 재능이나 능력을
일깨우기 위한 예수의 교훈이다. 29절에 예수는 말 한다.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유대인들의 속담에 "물고기를 주지 말고 ,물고기 잡는 법을 아려주라"고 합니다.
당연한 말인 것같지만, 우리들은 늘 눈에 보이는 물고기에 연연하며 살고 있습니다
|